기본적으로 리눅스는 메모리를 free 상태로 있는 것보다 buff/cache 상태로 존재하려 한다고 하나, 버퍼/캐시 메모리를 주기적으로 정리해 줘서 보다 쾌적한 서버 자원을 확보하는 것도 좋을 수 있다.
캐시메모리 삭제 방법
아래는 방식별로 기재한 것으로, 원하는 방식을 골라서 사용하면 된다.
캐시메모리는 pagecache와 dentries, inodes 두 종류로 나뉜다.
pagecache 해제
echo 1 > /proc/sys/vm/drop_caches
dentries, inodes 해제
echo 2 > /proc/sys/vm/drop_caches
pagecache, dentries, inodes 모두 해제
echo 3 > /proc/sys/vm/drop_caches
캐시메모리 정리(pagecache, dentries, inodes) + sync
sync && echo 3 > /proc/sys/vm/drop_caches
자동으로 캐시 비우기(크론탭 crontab)
'crontab -e'를 입력한 뒤, 마지막 줄에 원하는 내용을 입력하면 된다.
디스크 I/O 가 많은 시간에 캐시메모리를 정리하면 CPU 부하량이 증가 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적은 시간에 설정 하는 것이 좋다.
0 7 * * 0 sync && echo 3 > /proc/sys/vm/drop_caches # 매일 오전 7시에 캐시 비우기
0 * * * * sync && echo 3 > /proc/sys/vm/drop_caches # 매 시간 캐시 비우기
리눅스 스왑 Swap 사용량 조절 방법 (0) | 2022.09.09 |
---|---|
리눅스 스왑 swap 설정 방법(+AWS 프리티어 멈춤 해결) (0) | 2022.07.19 |
Vue 실행 중 오류 해결(node:internal/errors:464) (0) | 2022.05.13 |
리눅스 날짜, 시간 설정하기(date, KST 한국표준시) (0) | 2022.05.12 |
AWS(아마존 웹서비스) EC2 프리티어 CPU사용량 100% 이슈 (0) | 2022.04.03 |
2023.05.21 14:22
2022.05.12 20:06
2022.04.02 12:00
2016.08.02 21:13
2022.05.14 21:16
2022.10.23 22:55
2022.03.03 17:30
2022.10.25 10:18
2022.02.16 21:55
2015.01.20 20:42
IT/Python
Financial/국내주식
Financial/시장
일상
IT/Util and 꿀팁
일상/여행
Financial/국내주식
Financial/해외주식
Financial/부동산
IT/Python
댓글 영역